2013년 5월 3일 금요일

compulsive hoarding 저장강박증


SBS스페셜이 '저장강박증'을 다룬 적이 근래 있었는데 시청을 잊고 있던 중, 잘게 나뉜 영상 10편으로 올려진 유투브를 통해 해당 방송을 어제 전부 봤다. 

저장강박은 호딩hoarding으로 저장강박환자는 hoarder로 불린다고 한다. 검색해보니 이 정신질환의 강박성 때문에  compulsive hoarding로 표기되는 것 같다. 중증 환자 수준까진 이르지 않았어도 아깝다거나 나중에 쓸지도 모른다는 미련 때문에 (결국 쓰지도 못할 물건을) 집에 잔뜩 쌓아두는 사람들이 주변에 있게 마련이다. 그리고 정도차가 있어서 그렇지 누구나 정리 분리 폐기를 잘 못하는 법이다. 방송에선 저장강박 증세가 있었던 예술가의 사례로 앤디 워홀을 짧게 소개하기도 했다. <월간미술>은 2010년 7월호 특집으로 '수집과 관련한 미술'을 다룬 적이 있는데 나는 그때 앤디워홀을 포함해서 수집강박이 있는 작가들의 사례에 관한 기고한 적이 있다(원고보기). 

SBS스페셜 '저장강박증'에선 물건 수집 뿐만 아니라 버려진 개들이 불쌍해서 집 안에 들이다가 결국 근 50마리에 가까운 유기견을 데리고 사는 참으로 착한 저장강박 환자도 소개 되었는데, 그 장면을 보고 있자니 연전에 자원봉사를 간 적이 있었던 포천의 애신의 집이 떠올랐다. 그 분도 동일한 이유에서 유기견을 받다가 천마리에 가까운 유기견의 보호자가 되신 경우이므로. 

SBS스페셜 '저장강박증'에서 다룬 환자들의 특징은 이렇다. 저장 강박은 자기 의지와 관련 없다는 점에서 '강박적 정신병'이고, 물건을 버리지 못해서 집에 쌓아둔 사람은 결국 생계도 어려워져서 라면으로 끼니를 떼우기 마련이어서 덩달아 건강도 악화되기 마련이란다. 이런 사람의 특징은 '의사 결정의 확고함'이 결여된 경우가 많단다. 저장 강박증이 생기는 배경에는 과거 깊은 상실감이나 배신으로 인한 마음의 상처가 있단다. 상실감을 치유하려는 왜곡된 방편으로 물건에 대한 집착증이 발동하는 것이란다. 물건을 계속 집어오는 환자 가운데에는 과거에 아내가 자신을 떠나버렸거나 어떤 불행한 일로 생계가 막연해진 경우가 있단다. 그래서 물건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라 하고, 유기견을 보호하는 강박 환자의 경우는 과거에 사람에게서 받은 상처(빚보증을 여러번 섰다가 속았다고 한다)에 대한 분노로 "동물은 사람을 속이지 않더라"는 이유가 작용했다고 한다. 애신의 집의 할머니도 바로 그런 경우였던 걸로 안다.

어느 저장강박증 외국인 가정의 집안 실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