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0월 22일 수요일

1021 반고흐 위대한 유산 / 내가 잠들기 전에 / 철의 꿈

* 하루에 영화 시사회 3편을 소화한 10월21일(화). 


감독
핌 반 호브
출연
바리 아츠마, 예로엔 크라베
개봉
2013 네덜란드

10월21(화) 14시. 롯데시네마 건대 <반고흐 위대한 유산 The Van Gogh Legacy>(2013) 시사회.

별점: 




반 고흐의 생애를 영화로 다룬 작품을 내가 처음 본 건, 커크 더글라스와 앤소니 퀸을 각각 반 고흐와 고갱으로 캐스팅한 <Lust for Life>(1956)다. 구입한 DVD로 그 영화를 접했지만 올초 이삿짐을 정리 하면서 분리수거할 책과 DVD 꾸러미에 그 영화도 포함 시켜서 블로그 방문자들에게 미련 없이 나눠줬다. 네덜란드 화가를 다룬 그 미국 영화가 내게 깊은 인상을 남기진 못한 걸로 기억한다. 

<반 고흐 위대한 유산>은 네덜란드 현지에서 자국 예술가의 생애를 다룬 영화다. 완성도? 훨씬 형편없다. 일련의 예술가의 생애를 다룬 영화들을 보고 있노라면, 전설의 반열에 오른 예술가를 바라보는 세간의 비현실적인 기대치를 확인하게 된다. 예술가의 생애에 대한 태부족한 자료와 빈센트와 테오 사이에서 오간 편지를 토대로 예술가의 삶은 완전히 재구성될 거다. 생전에 주목받지 못한 비운의 인생에 방점을 찍고 드라마를 최고치까지 끌어올리기 십상. 그러니 영화가 그린 예술가상은 항상 인습과 관례와 타협하지 않는 보헤미안 캐릭터로 수렴되고야 만다. 단도직입적인 성품과 타협하지 않는 자기 미학으로 주변과 마찰하는 반 고흐의 모습이 영화에서 반복될 수로 진부하게 느껴진다. 그게 대중이 바라는 바일 지도 모르지만. 그런 해석이야 말로 영화를 더할 나위없이 인습적으로 만든다.

이미 구축된 반 고흐의 탄탄한 페르소나를 해체시키는 진짜 새로운 반 고흐 영화를 기대하는 건 현재로선 어려운 일 같다. 
<반 고흐 위대한 유산>은 동생 테오가 소장한 반고흐의 작품들이 테오가 사망한 후 그의 아내에게 상속되고, 그것을 다시 테오의 아들 빌헴에게 상속되어, 빌헴이 상속된 모든 작품을 처분하려는 과정을 다룬다. 그래서 이 영화는 반 고흐 살던 1880년대와 그의 작품 일부를 소장한 조카 빌헴이 살던 1950년대 사이를 교차편집하는 액자식 구성을 취한다. 

1950년대 나이든 반 고흐의 조카 빌헴과 그의 아내가 반 고흐의 작품을 처분하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 일정과 반 고흐의 생전 모습이 교차편집되어 나온다. 참신할 수도 있었을 이런 구성은 하지만 진부하다. 왜냐하면 이 나이든 반 고흐의 조카 부부는 반 고흐가 유랑한 일대기를 되밟는 노정을 따르기 때문이다.  즉, 아를 -> 생레미 정신병원 -> 오베르. 조카 부부에 의해 재현되는 반 고흐의 지난 여정을 보여줄 때마다, 혹은 생전 반 고흐의 삶을 보여줄 때마다 세간에 익숙한 반 고흐의 대표작들이 연이어 출몰한다. '별이 빛나는 밤' '아를의 밤 카페' '우체부 요셉의 초상' '노란방'...등.

기존에 완성된 반 고흐의 전기와 그의 대표작에 예속되어 이야기를 전개하니, 한계는 명확해질 수 밖에 없고, 영화에서 반 고흐가 포효하듯 고집하는 '진실과 독창성'은 영화에서 종적을 감춘다. 심지어 영화에서 제시되는 반 고흐의 그림에서 캔버스의 재질감이 아니라, 인쇄물의 티까지 느껴진다. 이건 좀 너무한다. 반 고흐의 대표작들을 스크리닝하는 마지막 장면에서도 마찬가지. 반 고흐 미술관으로부터 고화질의 이미지파일을 확보하지 못한걸까?

반 고흐의 예술이 둘도 없이 위대할지는 몰라도, 그와 그의 예술을 후대가 계승하는 태도는 거의 예외 없이 인습적이고 천박하다. 전설의 반열에 올려진 예술(가)의 리얼리티가 얼마나 심각하게 훼손된 채 동시대인에게 소비되는지, 반 고흐가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

감독
로완 조페
출연
니콜 키드먼, 마크 스트롱, 콜린 퍼스
개봉
2014 영국

10월21일(화) 16시30분. 왕십리CGV <Before I go to sleep>(2014) 시사회.

별점: 




 
반전이 있다.
단번에 <메멘토>의 변형 버전처럼 느껴졌다. 심인성 기억상실증을 겪는 40세 여성이 주인공이다. 잠에서 깨면 자신을 20세 초반으로 기억한단다. (이게 정말 가능할까? 아니면 영화적 설정일까?) 기억과 기억 상실은 평상시 나의 지대한 관심사여서 몰두하면서 영화를 봤다. 

반전이 있어서 여기선 길게 풀지 않는 게 낫겠다. 
아무튼 영화를 보는 동안 내가 정한 포인트는...

- 영상기록의 증거능력을 환기했다. 
- 짜임새 있는 시나리오를 위한 '소설 base 영화'의 매력을 느꼈다.  
- 섹스심볼 니콜 키드만(1967년생)이 40대 후반까지 유지하는 인체 라인과 밀도있는 연기
- "만일 내가 저 사람(심인성 기억상실 환자)이었다면, 매일처럼 리셋되는 기억 때문에 동어반복적 일상을 살텐데..."하는 전제로 영화에 몰입하게 된다.    
- 무한정 매력적인 소재, 기억  
- 마지막 크레딧까지 모두 챙겨봤는데, 내 예상과는 달리 영화에서 잔잔하게 흘러 나온 음악은 메탈리카의 'One'을 변주한 게 아니었다. 흠... 아니어도 여기서 뮤비로 한번 보지.  



니콜 키드만이 영상일기 촬영을 위해 쓰는 카메라는 루믹스. 

------------

감독
박경근
개봉
2013 대한민국


10월21일(화) 14시. 씨네코드 선재 <​dream of Iron>(2014) 시사회.

별점: 보류 



시사회 직후 박경근 감독, 이영준 기계평론가, 안지용 건축가, 그리고 내가 참석한 관객과의 대화 겸 좌담이 있었다. 
나는 <철의 꿈>이 암각화의 원시 신앙체계가 근대를 맞이하면서 위축되고, 그 자리를 근대라는 새로운 신이 들어차게 되었다는 점을 보여주려한 영화로 해석했다.  그래서 제철/제강은 새로운 신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장면들인데, 그 와중에 삽입된 노사 갈등으로 웅장한 철탑인 골리앗 위에 올라가 고공시위를 하는 노동자의 모습들은 새로운 신의 부정적인 측면을, 근대화로 안락해진 삶은 새로운 신의 긍정적인 측면을 악의 없이 보여준 것이라고 믿었더랬다.  

그런데 막상 감독의 진술을 들어보니 내가 포인트를 잘못 잡은 거였다. 그보다는 조선소에서 보이는 제철/제강의 즉물성에 매료되어 영화를 만들었다고 얘길 하더라. 어쩐지 나는 이 영화가 다큐멘터리를 표방함에도 불구하고 해설이 너무 빈약한 반면, 제철/제강의 과정이나 조선소의 모습을 너무 장시간 화면에 안배했다고 느낀 터여서 그 점이 영화의 한계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감독 얘길 듣고보니 철의 즉물성을 응시하는 게 원래 의도였던 거다.  그렇지만 서구의 몇몇 영화제가 이 영화를 초대하거나 상을 준 이유는, 영화가 재현하는 즉물적인 제철/제강과 조선소의 스펙터클과 더불어서, 동아시아 근대화의 장면을 과거 영상으로 고증했기 때문일 거라고 본다. 이렇듯 제작자의 의도와 비평가의 관측은 어긋나기도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