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2월 29일 일요일

1204 외부 강연(과천국립) 이해민선(아마도 예술) 2013 History of Video Art(아마도 예술) 히로시 스기모토(리움) 1205 자문회의(사루비아) 1209 국립현대미술관장 간담회(비나리) 이은실(창강빌딩) 1212 외부강연(서울대미술관) 1213 라운드업(서울시립미술관) 1214 이연숙(압생트)

1204(수)
법무법인 태평양 임원대상 강연 (14시. 과천국립현대)
이해민선 '물과 밥' (2013.1123~1205 아마도 예술공간)
2013 History of Video Art (2013.1125~1205 아마도 예술연구소)
히로시 스기모토 '사유하는 사진' (2013.1205~2014.0323 리움)

1205(목)
사루비아 자문회의 2차 (16시30분. 사루비아)

1209(월)
국립현대미술관장&미술이론가 간담회 (12시. 비나리)
이은실 개인전 '부합' (2013.1208~1223 창강빌딩 1003호)

1212(목)
2013년도 2기 '현대문화예술강좌' -현대미술과 영화 (14시. 서울대미술관 오디토리엄)

1213(금)
라운드-업 2013 Emerging Artists: 신진작가 전시지원 프로그램 보고展 (2013.1213~2014.0112 서울시립미술관)
  
1214(토)
이연숙 'Small is beautiful' (2013.1130~1216 갤러리 압생트)




법무법인 태평양 임원대상 강연(과천국립현대)

국립현대미술관이 진행하는 교육프로그램 중 하나. 올해 6월말 아시아나항공 임직원 대상 강연과 비슷한데, 당시는 내가 아시아나까지 가서 강연을 해줬는데, 이건 강연장이 국립현대미술관이었다. 청중의 평균 연령이 이 정도면 제법 고령에 해당한다.



이해민선(아마도 예술)



평면 회화와 입체물의 연장 가능성을 시험하는 작업.  



2013 History of Video Art(아마도 예술


<Video Art Archive Network Forum>를 구성하는 2개의 축은 포럼과 전시회이다. 전시보다 일찍 열린 ‘제5회 비디오 아트 아카이브 네트워크 포럼’은 서울시립미술관의 지하 홀에서 진행됐고,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의 아트 아카이브’라는 주제를 내걸었다.
매체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급전환 되면서 비디오아트 아카이브 방식에 초래된 변화에 관해 포괄적으로 다룬 포럼인데, 이 포럼의 시작점인 1회가 2006년에 개최된 점을 감안할 때 너무 낡은 화두를 반복적으로 되씹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향후 포럼을 계속 열 계획이라면 그동안 누적된 지난 포럼들에서 논의된 주제들에 어떤 진전과 변화가 있었는지, 그리고 포럼들에서 문제가 제기된 게 있다면 그런 부분은 해결되었는지, 해결되지 않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며 대안은 무엇인지 등에 관해 논의되어야 할 거 같았다. 그게 아닌 비디오 아트 포럼은 행사를 위한 행사로 머물 수 밖에 없다.
전시는 이태원의 ‘아마도 예술연구소’에서 진행됐다. 초기 한국의 대안공간을 연상시키는 전시장 내부에는 비디오 아트들이 여러 개의 방에 나뉘어 반복적으로 상영되고 있었다. 이런 비디오 전시회에 갈 때마다 항상 느끼는 점은, 한 공간에 무수한 시간예술을 상영할 경우 출품된 그 어떤 작품도 제대로 감상하지 못하고 돌아오게 된다는 거다. 이건 비단 관객의 성실성에만 의존할 문제 같진 않다. 출품된 작품의 개수를 채우기 보다는, 주제별로 영상 작품을 구분해서 감상의 로드맵을 그릴 수 있도록 도와주거나 아니면 관객이 선택적으로 작품을 실시간 고를 수 있도록 설정해두는 편이 효율적인 감상 기회를 높이는 방안이다. 

--- 내가 작성한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사업-시각예술 전문평가위원 평가서 재편집. 



히로시 스기모토(리움)






초대받은 사진가의 출신이 일본이어서 개막 당일 작품을 둘러보는데 내 뒤에 있는 관중들 사이로 '소데스네' 하면서 일본어로 감상평을 나누는 대화가 자주 들렸다. 히로시 스기모토의 작품은 개개의 사진은 간헐적을 종종 접했지만, 70년대 흑백사진부터 21세기에 제작된 입체 설치물까지 한번에 보긴 처음이어서 "이것도 스기모토 거였구나"하는 생각을 하면서 봤다.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가는 전시장에서 처음 만나게 되는 대형작품 <번개치는 들판 구성>(2009)을 통해, 몇개의 단순 코드를 활용해서 자기 세계를 밀어붙이는 그의 방법론을 확인하게 된다. 흑백으로 촬영된 초대형 화면은 제목처럼 번개의 형상일 테지만, 산맥이나 혈관 등을 연상시켜 해석은 중의적으로 열어두되 숭고한 시각적 위압으로 귀결되게 만들었다. 초대장 엽서에 쓰인 여러 강들의 수평선을 촬영한 연작을 7개 늘어놓은 작품도 마찬가지. 보는 이가 반복과 비율과 흑백의 질감에만 몰두하게 만든다. 
아직 받아온 전시 도록의 해설을 살피질 못했는데 <알래스카 늑대들>(1994)는 어떻게 연출한 건지 궁금했다. 스기모토의 생명력은 단순 코드를 약간 변주해서 한가지 자기 스타일에만 머물지 않는다는 인상을 주되, 서툴지도 않다는 인상을 동시에 주는데서 오는 것 같다. 주변부를 어둡게 정중앙을 환하게 비춘 극장을 다룬 유형학적 사진으로부터 역사적 회화의 권위를 초상사진으로 옮겨온 차용작품, 그리고 설치물까지. 이 모두를 사진, 뉴미디어, 입체물로 옮겨가며 반복하기에 작품들 간의 교감과 시각적 효과가 증폭되는 거다.  



자문회의(사루비아)


자문회의(2차) 사루비아 사무실. 내 맡은 편에 앉은.... 이관훈 임산 멀찍이 앉은 사루비아직원(이름 모름) 홍보라. 



국립현대미술관장 간담회(비나리)

서울관 개관후 어떤 미술단체가 관장 사퇴를 요구하는 집단 시위까지 벌이기도 했고, 개관전 출품작가들의 출신학교 배분에 대해 비판하는 기사도 여럿 실렸다. 관장과 미술평론가/이론가의 간담회는 전부터 기획되었던 거라고 들었다. 밥을 거의 다 먹을 무렵 참석자 한둘이 일어나서 의견을 제시하기 시작했는데 어느 순간 밑도 끝도 없는 동어반복으로 흘러서 나는 중간에 자리에서 일어나 밖으로 나갔다. 당시 상황에 대해 느낀 심정은 내년 1월 <문화공간>에 실릴 짧은 칼럼에 실린다.


이은실(창강빌딩)


문제적 동양화가 이은실이 전시장이 아니라 빈 사무공간을 대관해서 개인전을 열었다. 명동 롯데영플라자 뒷편에 있는 '청강빌딩'이었다. 검고 가느다른 체모의 유기성이 반듯하고 기하학적인 건축조 구조 안에 담길 때 관전 포인트와 미스터리가 증폭하는 점에선 지난 작업들과 비슷하다. 음핵을 화면 전면에 크게 부상시킨 점이나, 프레임의 크기에 다양화 한 점은 변화 같았다. 명사로 딱 떨어지지 않고 '참았어야 했는데' 라거나 '나도 간다... ....!' 혹은 '두고두고' 처럼 끝맺은 작품 제목들도 화면을 채운 체모 더미처럼 호기심을 붙든다. 
 

2기 현대문화예술강좌(서울대미술관)


'현대미술과 영화'에 관해 강연을 해달라고 해서 눈이 내리는 날 자전거로 이동했던 바로 그날 장면. 연속 강좌 프로그램에서 내 강연이 마지막 순서여서, 수강자들에게 관악 구청장이 수료증을 나눠주는 행사가 내 강연 뒤로 곧바로 이어졌다. 


라운드업(서울시립)


서울시립미술관의 오래된 신진작가 전시지원 프로그램이던 SEMA를 최근 Emerging Artists로 이름 바꿨다고 한다. 왜... SEMA가 훨씬 개성있는 이름 같은데 왜 바꿨지. 



이연숙(압생트)




투명 비닐과 불안정한 좌대 위에 올려진 설치물과 네온등이 한세트로 전달되는 전시. 완강한 태도를 아슬아슬한 균형감으로 담아낸 연출력. 
   
이 전시는 종료를 이틀 남기고 찾았고, 하필 전시장 문닫기 20분 전에 도착하는 바람에 후다닥 전시를 봐야했다. 전시장에 오는 방법을 정류소 개수와 소요 시간까지 적어서 보내준 작가의 메일을 읽고, 꼼꼼한 성격이 나랑 비슷한 거 같다는 느낌을 품고 전시장을 찾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