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7월 9일 수요일

0708 프란시스 하 / 논픽션 다이어리 / 랄프 스테드먼 스토리



* 오후부터 저녁까지 영화시사회 3편을 연달아 본 7월8일(화) 일지. 


7월8일(화) 14시. 왕십리CGV <프란시스 하 Frances Ha> (2012) 시사회.

별점: 




<프란시스 하>는 모처럼 만나는 흑백 화면도 그랬고, 선명한 연애 감정의 경계선을 긋지 않는 주인공들의 모습 때문에, 프랑소와 트뤼포의 <쥴 앤 짐 Jules et Jim>처럼 선명하게 청춘 애정물을 표방하진 않되 젊은 남녀가 뒤엉켜 어울리는 연애의 모습을 대안적으로 보여진 게 아닐까 하면서 봤다.  좌절한 여성 무용수인 프란시스나 그가 어울리는 자칭타칭 예술가 집단의 모습 때문에 알란 파커의 <패임>까지 생각났다. 또는 단순한 친구관계를 넘어서는 프란시스와 소피의 모호한 관계에서 <진저앤로사 Ginger & Rosa>(2012), <가장 따뜻한 색, 블루 Blue Is the Warmest Colour>(2013>에서 최근 본 <커피 한잔이 섹스에 미치는 영향 Concussion)>(2013)로 이어지는 근래 관람한 여성동성애물의 대안버전 같기도 했다. 초반부까지 받은 인상은 그렇다. 

바로 그런 점들 때문에 영화 중반까지 호들갑스러운 배우들의 대사들이 서구의 20대 여성이 겪는 취업란, 거주의 문제, 연애의 난관 따위를 유쾌하게 그려내는 <프란시스 하>가 유독 여성관객들에게 호소력이 있는 영화 정도로만 느껴졌다. 

그런데 영화에서 프란시스와 그의 단짝 친구 소피가 맺는 관계가 동성애적 관계로 전혀 발전하지 않는 점, 뉴욕의 젊은이들이 남녀 혼숙의 형태로 거주하는 문화나, 거침없이 서로의 사생활에 대한 캐묻는 집단거주자들 사이의 격없는 관계 등에서, 작년 북유럽 여행 때 경험한 코펜하겐 대학생들의 집단 혼숙이 떠올랐다. 한 집에서 방 하나씩을 잡고 남녀 서넛이 연애관계를 전제하지 않고 자기 생활을 해 나간다. 그러다가 연애관계로 발전하는 경우도 아마 있을 게다. 

<프란시스 하>의 감독이 서구 태생인 이상, 그가 가족관계 부부관계 연인관계의 모호성에 대한 얘기를 영화에서 하려고 한 건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도가 정해놓은 고정된 관계항들이 모호하게 무너지는 현실에서-특히 한국처럼 극성맞은 결혼 열풍에 반해 이혼률이 세계1위인 국가에서라면-<프란시스 하>의 프란시스가 겪는 관계짓기의 어려움과 고초는 근래 내가 자주 생각하고 있는 이 문제를 환기시켰다. 

무턱대고 파리행 비행기에 오르는 프란시스가 만나려던 사람들과 어처구니 없이 타이밍이 빗나가거는 것도 그녀가 겪는 관계 오류에 대한 은유였을 것이다. 그렇다고 연신 '나는 연애가 잘 안돼 undateable'라고 털어놓곤 하는 프란시스를 방치한 채 영화가 끝맺진 않는다. 그 점이 좋다. 무용 공연은 단독으로 연출(아마도?)하며 독립한 프란시스의 모습이나, 동거인 없이 자기 이름만 적힌 대문 이름표를 보여주며 끝나는 마지막 장면 때문에. 


---------

7월8일(화) 16시30분. 왕십리CGV <논픽션 다이어리 Nonfiction Diary> (2013) 시사회. 

별점: 




 올해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넷팩상을 받았다고 한다. 작년 부산영화제에서도 비프메세나상을 받았단다.
내가 볼땐 <논픽션 다이어리>는 특히 서구 영화 관계자들에게 호소하는 부분이 있는 영화다. 동아시아에서 20년전 발생한 엽기살인사건을 다룬 점, 동아시아으 중진국이 겪는 근대화와 참사들(삼풍 붕괴, 성수대교 붕괴)등을 병렬로 나열하기 때문에 사료적 관심도 모을 수 있다는 점 등, 본래 취지야 어떻건 서구인에게는 현실에서 발생한 실제 사건이 뒤틀린 이국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관심을 받기 쉽다. 그렇지만, 전체적인 영화의 완성도만 엄정히 따지면 완성도가 높다고 할 수 없다. 

지존파 사건에 관여했던 강력계 형사나 그들이 수감된 곳에 근무한 형무소 관계자나 이 사건을 해석하는 변호사와 문민정부 당시 통일부총리 등의 인터뷰가 영화의 너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그런데 이들은, 특히 교도관, 형사, 목사 등은 언변이 떨어져서 의사전달력이 매우 낮다. 한완상 통일부총리의 인터뷰 내용도 참신하지 않다. 시대상황을 입체적으로 얘기하는 건 김형태 변화사 정도인데 말주변도 부족하고 의견 차이까지 있는 인터뷰이들의 진술을 무작위로 열거하는 걸로는 감독이 전하려는 입장을 전달 받기 어렵다. 

또 하나 불만은 이들의 인터뷰 내용이나 94년 당시 지존파들이 기자들에게 쏟아낸 말들의 발음이 부정확해서, 잘 들리지 않는데, 왜 이런 부분을 자막처리하지 않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문민정부 2년차인 1994년에 지존파 사건이 터지자, 심야토론에서 사태를 성토하는 토론자의 모습도 가관이다. 이들은 하나 같이 민주국가에서 국가 권력에 대항하는 자들에게는 무기를 사용해서 하지 않냐는 주장을 하고 있다. 당시 도덕불감증때문에 이런 참사가 일어났다며 성토대회도 많이 열린 모양이다. 지금 찾아보니, 전국 곳곳에 흉물을 세우는 '바르게 살기 운동본부'(위 사진)도 성토대회에 참여했더라. 

한가지 크게 공감이 갔던 부분은 김형태 변호사의 인터뷰 내용 일부. 
직접적인 방법으로 살인이 이뤄지면 쉽게 공분이 일어난다. 그렇지만 이런 형법상의 살인과는 달리, 삼풍백화점이나 광주대학살을 저지른 군부나 형법상은 업무과실치사나 내란음모로 처리되면서 낮은 형량을 받는다고 지적한다. 혹은 쌍용차 사태로 자살한 사람들의 수나, 김영삼정부의 실정으로 외환위기가 왔을때 무너지 가정의 수도 통계적으로 잡히지 않지만, 형법상의 살인을 능가하는 죄악이라는 점. 내가 평소 늘 생각하는 부분과 맞닿아 있다.

지존파에게 사형을 구형함녀서 검사가 한 말은 '악마의 대리자들이 저지른 범죄'라고 했단다. 웃겨. 
지존파들은 사형집행 전에 이런 말을 국민에게 남겼다고 하네. 대충 정리하면.
'세상을 두려움 없이 살라고 국민에게 말하고 싶습니다."    음.  명언.  

   

---------

7월8일(화) 20시. 메가박스코엑스 <랄프 스테드먼 스토리: For no good reason> (2013) 시사회. 

별점: 보류 




 저녁에는 왕십리에서 삼성동으로 이동하여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랄프 스태드먼 스토리>의 상영이 끝난 직후 '아트 스타 코리아'의 탑쓰리 도전자였던 유병서씨와 관객 대화GV를 진행했다. 내가 GV까지 한 영화인 만큼 일단 개봉 전후까지는 별점 보류. 완전 대중적인 영화이긴 어렵고, 단순한 스펙터클 영화를 지양하고 창의적 사유에 대해 관심있는 관객에게 추천한다. 

비단 특정 괴짜 예술가 그룹의 이야기로 한정해서 생각하지 말고, 영화에서 랄프의 태도를 자기화 하면 좋겠다는 점, 자기 전공 분야에서 고유한 자기 스타일을 만드는데 주력하라는 점, 이 모든 결심의 실행 뒤로는 '인생은 무의미할 수도 있다'는 초연한 태도가 필요하다는 점 등을 관객에게 얘길 했다. 시간이 너무 늦은 터라 질문을 받진 못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